낙상예방교육이란?
요양병원에서 낙상예방 및 관리지침은 요양보호사에게 교육하여 어르신들의 낙상을 예방할 수 있음
노인 환자들의 빈번한 낙상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음
낙상 정의
낙상이란 외적인 충격 없이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동안 균형이나 안정성을 잃으면서 신체의 일부분이 바닥에 닿은 것, 즉 단순히 넘어지는 것을 의미
낙상 위험요인
인지 심리적 요인 - 치매, 우울증, 불안이나 공포장애
치매: 보행의 변화와 인지 기능 장애를 발생
우울증: 주변 환경에 대한 무관심, 집중력 저하, 위험한 환경에 대한 인지 둔감
불안, 공포장애: 일상 활동 제약이나 신체 상태의 약화 유발
신체적 요인 – 치매, 말초신경장애, 현훈, 어지러움, 뇌종양, 파킨슨병, 시력 저하 등
환경적 요인 – 미끄러운 바닥, 평평하지 못하거나 장애물이 있는 곳, 어두운 곳, 손잡이가 없는 계단, 화장실, 욕조와 같은 곳
낙상 발생 시 응급대처
① 낙상 직후 대상자 안정, 편한 상태로 있도록 함
② 의사표현 가능한 경우 낙상 상황에 대해 질문함
③ 추가 위험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없으면, 의료진이 올 때 까지 낙상한 장소에서 대기
④ 응급 상황인 경우 119응급센터 구호 요청
⑤ 최초 낙상 발견자는 대상자 상태 파악 후 담당 관리자, 시설장에게 보고
⑥ 통증이 심한 경우 억지로 구부리거나 펴려고 하지 않음
⑦ 보호자에게 사고 사실을 반드시 알림
⑧ 출혈 시 지혈, 환부를 부목 등으로 고정 후 의료기관 내원
⑨ 외상이 없는 경우에도 촉탁의,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도록 함
⑩ 낙상 발생 경위 및 중재 내용을 기록